새 삶 되찾은 몽골 의대생, K-의료가 만든 기적 > 스포츠/건강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8.28 (목)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스포츠/건강

새 삶 되찾은 몽골 의대생, K-의료가 만든 기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8-27 13:35

본문


[사진 2] 응급외상중환자외과 신홍경 교수와 의료진이 엥흐진 환자에게 수술 경과에 대해 설명하고 있는 모습.jpg

 - 교통사고로 다발성 장기 손상, 다리 절단… 한국 의료진 ‘재건수술’로 일상 회복 -

-  몽골국립의과대학교 의대생, 작년 9월 불의의 교통사고로 다발성 장기 손상, 골반 및 대퇴골 골절 

-  몽골과 중국에서 여러 차례 수술과 치료에도 호전 어려워... 마지막 희망으로 한국행 결심

-  소장 장루 통해 영양공급, 배변... 잦은 수술로 복부 겉 피부만 간신히 봉합한 채 한국 이송 

-  외과 신홍경 교수팀, 복부 장기 안전하게 복원, 기능 잃었던 위장관 정교하게 연결, 복벽 완벽 재건

-  수술 후 약 2주간 집중 치료로 정상 식이, 건강 회복... 의족 착용 걷기 위한 재활치료 이어갈 예정



“몽골과 중국에서는 더 이상 받아준다는 병원이 없어 포기할 수밖에 없었는데... 한국 선생님들의 도움으로 다시 맛있는 것도 먹고, 일어설 수 있게 되었어요. 이제는 두 발로 걸어서 몽골로 돌아가는 날을 기다리고 있습니다.”


몽골국립의과대학교 의대생 엥흐진(19세) 씨는 최근 분당서울대병원에서 다발성 장기 손상에 대한 수술을 성공적으로 받고, 지난 7월 16일 건강한 모습으로 퇴원했다. 현재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재활치료를 받으며 몽골로 돌아가기 위한 준비에 한창이다.


지난해 의대에 막 입학했을 때인 2024년 9월, 불의의 교통사고로 위, 폐, 췌장, 비장 등의 압착과 내출혈, 골반 및 대퇴골 골절 이라는 중상을 입은 그는 사고 직후 몽골 병원에서 외상에 의한 장기 손상에 대해 4차례에 걸친 대수술을 받았다. 심지어 패혈증으로 인해 왼쪽 무릎 위를 절단하는 수술까지 겪어야 했다. 이후 2024년 10월 말에는 중국 병원으로 이송돼 치료를 이어갔지만, 중국에서도 수술은 쉽지 않아 약 5개월 만인 4월 초 다시 몽골로 돌아갈 수밖에 없었다. 몽골과 중국에서 이어진 여러 차례의 수술과 긴 치료에도 상태는 호전될 기미 없이 계속 악화될 뿐이었다. 


의대에 입학해 ‘의사’의 꿈을 키워가던 그는 더 이상 치료 해주겠다는 병원이 없어, 신체적 고통뿐 아니라 정신적인 절망감에 빠져 있었다. 그러던 중 마지막 기대를 안고 연락한 곳이 바로 한국의 분당서울대병원 국제진료센터였다. 국제진료센터와 외과 의료진들은 환자의 상태를 면밀히 검토한 끝에 수술 가능성을 확인했고, 엥흐진 씨는 2025년 6월 19일 마침내 분당서울대병원에 입원하게 됐다.


한국에 왔을 당시 그의 복벽은 완벽히 봉합되지 않은 채 열려 있었다고 의료진은 설명했다. 잦은 수술과 영양 부족으로 근육과 지방층이 거의 남아있지 않아 연부조직 봉합은 불가, 피부층만 겨우 꿰매 놓은 상태였던 것이다. 소장으로 연결된 장루를 통해 간신히 영양을 공급하고 배변을 해야 할 정도로 정상적인 식사와 배변도 불가능했다. 감염 위험이 상존했고 삶의 질은 바닥까지 떨어진 상황이었다.


분당서울대병원 측은 복부 장기 수술을 넘어 삶의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의료 재건 프로젝트’로 접근했다. 치료의 목적은 단순한 생존이 아니라 확실한 일상 회복에 있었다.


엥흐진 씨의 수술은 7월 1일, 응급외상중환자외과 신홍경 교수팀의 집도로 이뤄졌다. 수술은 장기 손상과 유착을 안전하게 복원하고, 기능을 잃었던 위장관을 정교하게 연결한 후 최종 복벽을 재건하는 고난도의 수술이었다. 소장에 연결돼 있던 장루를 제거했고 스스로 식사와 배변이 가능하도록 장기의 구조를 완벽하게 복원했다. 수술 후 약 2주간 집중 치료를 받은 그는 일반 식사가 가능할 만큼 회복되었고, 감염 징후 없이 건강한 상태를 유지해 퇴원할 수 있었다. 


응급외상중환자외과 신홍경 교수는 “몇 번을 했는지 짐작하기도 어려운 수술의 흔적과 그마저도 개복한 배를 봉합하지 못한 채 타국을 찾아온 환자의 모습에 안타까운 마음이 컸다”며 “환자의 삶 전체를 다시 회복시켜야 한다는 부분에 큰 책임감을 갖고 최선을 다해 수술했는데, 그만큼 좋은 결과로 퇴원시킬 수 있게 돼 분당서울대병원 의료진 모두가 보람을 느끼고 있다”고 전했다. 


신홍경 교수는 한 단계 더 나아가 절단된 하지에 대한 재활프로그램을 제안했다. 독립적으로 걷게 되어야 앞으로의 학업과 일상생활을 정상적으로 이어나갈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해 복부 수술 회복 시점에 의족과 재활치료를 이야기한 것이다. 이에 엥흐진 씨는 분당서울대병원 재활의학과에서 의족 착용과 걷기 위한 재활치료를 받고 있다. 앞으로 약 2주간의 재활 후 두 발로 걸어 몽골로 돌아갈 계획이다.    


그는 “사고 이후 정말 힘든 시간을 보냈지만 이제는 스스로 식사도 할 있고, 한걸음씩 걸을 수 있게 돼 새로운 삶을 살고 있는 기분”이라며 “한국에서의 수술을 통해 의사가 되겠다는 꿈을 더욱 확고히 다졌고, 언젠가는 분당서울대병원에서 의학 연수와 펠로우 과정을 받고 싶다는 새로운 꿈도 갖게 됐다”고 밝혔다.


마지막 희망으로 선택한 한국 의료는 그에게 단순한 치료가 아닌 ‘삶의 회복’이라는 기적을 선물했다. 더욱이 이번 사례는 환자의 생명을 살리고 삶의 방향을 다시금 되찾게 하는 K-의료의 진정한 저력을 보여준 상징적인 장면으로 남게 됐다.  <끝>






25

25

24

23

24

24

24

23

24

23

23

27
08-28 00:38 (목)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