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9.1%, 2018년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해 > 스포츠/건강

본문 바로가기
    • 'C
    • 2025.04.22 (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스포츠/건강

경기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9.1%, 2018년 대비 절반 이상 감소해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3-12-11 21:17

본문





- ’18년(22.8%) 대비 외상사망환자 1천명 당 137명을 더 살렸다는 의미

○ 경기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결과 2018년 22.8%에서 절반이상 감소한 9.1%

  - ’27년 보건복지부 목표를 경기도가 4년 먼저 달성한 성과

○ 도, 응급의료 전용헬기 24시간 운영, 경기도 외상체계지원단 출범 등 추진

○ 11일, 외상체계 심포지엄 개최. 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0% 달성 방안 논의

2021년 경기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이 전년(2020년) 대비 2.9%p감소한 9.1%로 나타났다. 2018년 22.8%와 대비하면 13.7%p 감소한 것으로 이는 외상사망자 1천 명 중 137명을 더 살렸다는 의미다.

예방가능 외상사망률이란 외상으로 인해 사망한 환자 중 적절한 시간 내에 적절한 병원으로 이송되어 적절한 치료를 받았다면 사망을 막을 수 있었던 가능성을 말한다. 통계작성의 특성상 2년 전 현황을 최신 통계로 발표하는데 2023년에 2021년 현황을 발표하는 식이며, 의료체계의 성과를 판단하는 도구로 이용되고 있다.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9.1%는 경기도가 2024년 목표(2022년 통계)로 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10%를 한해 앞당긴 것이다. 보건복지부 응급의료기본계획에서 밝힌 2027년(2025년 통계) 10% 목표와 비교하면 4년 먼저 달성했다.

외상사망률 감소는 경기도가 ▲전국유일 24시간 응급의료 전용헬기 운영으로 매년 300명 이상의 중증외상환자를 이송하고 ▲외상체계지원단 출범을 통한 외상환자 이송체계 점검, 권역외상센터 역할을 재정립하는 등 적극적으로 사업을 추진해 온 결과다.
 
격년으로 실시하는 보건복지부 조사와는 달리 경기도는 매년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조사를 진행한다. 도는 사례별로 초기 치료나 이송 등 사망 주요 원인을 분석해서 해당 병원과 소방본부 등에 결과를 알려주고 개선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매년 조사 결과를 통해 개선이 이뤄지면서 예방가능 외상사망률도 꾸준히 낮아지는 효과를 얻는 것이다.  

경기도는 지역 간 외상진료의 의료격차 불균형 해소를 위해 올해 경기 동북부 등 응급의료 취약지역에 지역외상협력병원을 8개소로 확대한 바 있으며 내년에는 북부 닥터헬기 도입을 적극 추진할 방침이다.

유영철 경기도 보건건강국장은 “이제는 한정된 인력과 자원을 효율적으로 어떻게 활용할지 고민하고 시스템을 개선해 나가야 할 때”라며 “도내 취약지까지 아우르는 촘촘한 외상체계를 만들어 2026년까지 예방가능 외상사망률 5%를 달성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한편 경기도는 11일 수원컨벤션센터에서 싱가포르 국립대학, 전국 권역외상센터 등 대내·외 전문가가 참여한 ‘2023년 경기도 지역외상체계 구축심포지엄’을 열어 경기도 성과를 공유하고 앞으로 남은 과제와 경기도의 외상체계 발전방향에 대해 토론하는 자리를 가졌다.




11

16

18

13

12

17

18

15

15

16

17

16
04-22 16:27 (화)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