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 > 해드라인

본문 바로가기
    • 'C
    • 2025.11.04 (화)
  • 로그인
사이트 내 전체검색

해드라인

「안동 광흥사 응진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 지정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11-03 19:16

본문


안동.png

- 1827년 등 두 차례 화재로 대웅전 소실 후 광흥사 중심 불전 담당해온 역사성 인정



  국가유산청장(청장 허민)은 조선시대 불교 건축과 사찰 운영의 변화를 보여주는 「안동 광흥사 응진전(安東 廣興寺 應眞殿)」을 국가지정문화유산 보물로 지정하였다.


  안동 광흥사는 통일신라 때 창건되었다고 전해지며, 특히 조선전기에 불경 간행이 활발히 이루어졌던 안동지역의 유서 깊은 사찰이다.


  「안동 광흥사 응진전」은 창건연대가 명확하지 않으나, 망와에 기록된 글을 통해 1647년(인조 25년) 기와 공사를 하였음을 알 수 있어, 그 이전인 조선 중기에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1827년과 1946년 사찰의 큰 화재로 주불전이었던 대웅전을 비롯한 대부분의 전각이 소실되었으나, 응진전은 중심 영역에서 벗어나 있어 화를 면한 이후로 사실상 광흥사의 중심 불전 기능을 수행하게 된 보기 드문 역사성을 지니고 있다.

  * 망와: 지붕 마루 끝에 세우는 암막새 기와


  정면 5칸, 측면 2칸의 규모이며, 지붕은 겹처마 팔작지붕으로 구성되어 있다. 건물 정면의 공포는 기둥 사이에도 공포를 배치한 다포 형식으로 화려하게 조성되었으며, 옆면과 뒷면은 기둥 위에만 공포를 두고, 꽃 문양이 그려진 화반으로 장식하여 정면을 강조하였다.

  * 공포: 기둥머리에 나무를 짜 맞추어 지붕의 무게를 받치는 구조부재

  * 화반: 기둥 사이에 설치된 수평부재 위에 상부 무게를 받치기 위해 둔 넓은 판재


  특히 응진전의 공포는 조선 전기의 양식을 계승하여 중기, 후기에 이르기까지 불전 건축양식의 변화를 시기적으로 잘 보여주는 형태를 지녀 학술적 가치가 높다.


  아울러, 응진전에 봉안되어 있는 「소조석가여래오존상 및 16나한상 일괄」(경상북도 유형문화유산)은 16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추정되는 예술성이 높은 작품이며, 총 42구로 일반적인 사례에 비해 그 수가 많고 배치가 특이하여 학술적 가치를 더하고 있다.

  

  국가유산청은 이번에 보물로 지정한 「안동 광흥사 응진전」이 체계적으로 보존·관리될 수 있도록 앞으로 지방자치단체, 소유자(관리자) 등과 지속적으로 협조해나가는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11

2

1

7

12

5

3

4

7

8

3

13
11-04 05:24 (화) 발표

최근뉴스





상호 : 국제타임지 주소 : 경기도 성남시 중원구 양현로 469 가람빌딩 301호 대표 : 오은애 청소년보호책임자 : 오은애
등록번호 : 경기,아51381 전화 : 031-755-0011 팩스 031-722-2288 대표 메일 : kjtnews@kjt.kr
등록일 : 2016년 5월 10일 발행인 편집인 : 오은애
© 2016 GLOBALNEWS THEME - ALL RIGHTS RESERVE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