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역대 고승 비문에 새겨진 ‘이체자’를 본다
페이지 정보
작성자 작성일 25-01-25 02:31본문
국립문화유산연구원, 이체자(6,759자)의 종합정보 담은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 발간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원장 임종덕)은 우리나라 고승(高僧)들의 비석에 새겨진 이체자(異體字)를 정리한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을 발간하였다.
* 이체자: 음과 뜻은 같으나 모양이 다른 한자
* 자전: 한자를 모아서 순서대로 늘어놓고 글자의 뜻과 음을 풀이한 책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전국에 소재한 금석문에 대해 지난 2020년부터 실시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금석문의 기본정보, 판독 및 해석 내용, 고해상도 사진 등을 포함한 종합정보를 구축하였으며, 현재 심화연구도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일환으로, 앞서 2023년 『한국 고승 비문 이체자 서체 자전』의 첫 번째 책자인 ‘고대·고려 편’을 발간한 데 이어, 이번에 두 번째 책자인 ‘조선 편’을 발간하게 되었다.
* 금석문 : 돌이나 쇠붙이에 새겨진 문자
이체자(異體字)는 흔히 정체자(正體字)에 상대되는 개념으로, 한자의 일부 획수를 줄여 간단히 한 약자(略字)나 관습적으로 한자의 자획을 약간 달리하여 쓰는 속자(俗字) 등을 통틀어 가리킨다. 이러한 이체자는 고승 비문 뿐 아니라 묘지명(墓誌銘), 사리기(舍利器), 목간, 역사서 등에서 다양하게 확인되는데, 당시 사용된 문자의 경향성과 함께 시대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하다.
* 묘지명: 무덤 주인의 생애를 기록한 글
* 사리기: 부처나 승려의 사리를 보관하는 용기
* 목간 : 나무조각에 글을 적은 것
예로부터 고승이 입적하면 왕실이나 제자들은 승려의 업적을 기리는 비석을 세웠는데, 승려의 출생부터 사망에 이르는 일생과 제자·문도(門徒)들의 이름이 새겨져 있어 당시 불교계를 이해할 수 있는 중요한 사료이다. 특히, 고승 비문에는 같은 글자라도 형체를 다르게 쓴 이체자가 많은데, 형체가 복잡한 한자는 획의 일부를 생략하거나 간략하게 쓰기도 하고 한자의 반복되는 부분은 기호처럼 표현하기도 하였다.
* 문도(門徒) : 이름난 학자·승려 밑에서 배우는 제자
자전에는 고승 비문에서 확인된 이체자를 서예로 작성해 수록하고, 비문 별로 이체자의 서체 용례를 탁본 또는 사진으로 삽입하여 같은 글자지만 다양하게 표현된 서체를 비교해볼 수 있도록 했다. 또한, 이체자에 대한 정체자는 음과 뜻, 부수, 총획수 등의 정보를 상세히 수록하였다. 총 2권(고대·고려 편, 조선 편)의 자전에 수록된 고승 비문은 고대·고려시대 63건, 조선시대 160건으로, 이체자는 고대·고려시대 3,076자, 조선시대 3,683자이며 서체 용례는 각각 7,268건, 8,050건이다.
* 탁본: 비석 따위에 새겨진 글씨나 그림을 종이에 그대로 떠낸 것
이번에 발간한 자전은 국공립 도서관, 박물관, 연구기관 등에 배포될 예정이며, 국립문화유산연구원 국가유산 지식이음 누리집(https://portal.nrich.go.kr/)에도 공개되어 있어 누구나 쉽게 열람할 수 있다.
국가유산청 국립문화유산연구원은 앞으로도 석비 뿐 아니라 다양한 금석문에 대한 종합정보도 꾸준히 구축하여 제공할 예정이며, 현재 진행 중인 금석문 심화연구의 결과도 공개해 국민 누구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노력해 나갈 것이다.